Delattre, P. (1966). Les dix intonations de base du français
full view 프랑스어의 억양에 대해서는 거의 원조격인 논문..본격적으로 억양을 다룬 첫 논문이라고 배우는데 이전 레퍼런스가 나오면 다시 올려봐야겠다. 이 논문에서는 '운율'(Prosodie)이라고 말하는 언어의 발성적인 특성 중에 억양(intonation)이 프랑스어에서 어떠한 언어학적인 가치를 지니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때까지 많은 사람들의 억양에 대한 생각은 '그래 억양이 무슨 의미를 가지긴 하는데 너무 주관적인 것 같다' 정도로 정리를 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이 분야 초창기 저작들은 항상 억양이 얼마나 중요하며 객관적으로 분석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썰로 시작한다. 사실 저 말은 꽤나 의미있는 비판인게 먼저 사람마다 기본적으로 가지는 음역대가 동일하지 않아 어디까지가 '높은 음'이고 '낮은 음'인지를 구분짓기가 애매하다. 또한 억양은 초분절적(suprasegmental), 그러니까 하나 이상의 음소에 걸쳐 나타나는 언어 특징이기 때문에 모델링이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게 성조(tone)와 다른점이다. 성조는 각 음소에 하나 하나씩 나타나는 특징이기에 연구가 용이하지만 '배고파.'와 '배고파?'를 구분하는 억양은 사실 두 개 이상의 음소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니까. 그리고 그 것이 몇 개의 음소에서 나타나는지가 정해진 것도 아니고. 저자는 나름 당시엔 최첨단이었던 (1966년...) 스펙토그램과 자기테이프 등으로 음높이(pitch)를 분석해서 억양이 가지는 의사소통의 효과들에 대해서 서술한다. 간단히 결론부터 정리하자면 저자는 억양 분석의 기본 단위를 억양 곡선(courbe d'intonation)이라고 본다. 억양 곡선이란 사람이 말한 음성의 음높이를 따라서 이은 곡선이다. 억양 곡선의 높낮이는 1(낮음) 2(평균) 3(높음) 4(조금 높음)으로 나누어 이를 도식화한다.(1-4, 2-3처럼)[2] 그리고 이러한 곡선들을 마치 음운론에서 ...
댓글
댓글 쓰기